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

여에스더 의사 30년 우울증 치료 고백

by 긍정의 말 2023. 1. 17.

썸네일

 

현재 지속적으로 연구를 하고 있지만, 코로나를 겪으면서 우울증 환자가 더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의학적으로

생물학적, 유전적, 사회적 요인으로 정의할 수 있고, 청소년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우울증을 느끼는 강도와 증상, 원인이

다양하며 적극저 치료가 필요합니다.

 

의사도 30년간 우울증 

여에스더는 현재 가정의학과 전문의고, 나이는 57세로 왕성하게 일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면서 의학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데, 최근 방송에서 남편과 함께 렉사프로라는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다고 고백했습니다.

 

의사가 되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고, 전문의가 됐을 때 미래는 보장되었다는 공부에만 집중하다가 노처녀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다 현재의 남편도 의사인데 그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 채 결혼했다고 합니다.    

남편과 함께 서울대 의대졸업을 했고,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남편은 연하이면서 외모도 훈남입니다.

 

사람들이 봤을 때 부족한 것이 하나도 없고, 모두가 부러워할 만큼 성공한 사람인데 우울증이라면 이해를

못합니다. 다양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분명 있습니다.

현재는 남편의 도움으로 우울증 증세가 좋아지고 있고, 남편은 우울증이 없는데도 함께 항우울제를

같이 복용한다고 합니다.

 

시아버님은 남편과 성격이 똑같은데, 80세부터 항우울제 소량을 드셨다고 합니다. 소량은 뇌 기능 유지에도

나쁘지 않다고 합니다. 여에스더는 본인이 갱년기와 우울증으로 약을 먹으니 남편한테 함께 먹자고 권유했는데

그 이유는 고집과 짜증이 줄어들고 관계가 부드러워지고, 나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예방이라고 합니다.

 

 

여에스더의 우울증 치료

우울증 치료를 위해서 매일 햇빛을 보면서 운동을 해줘야 합니다. 

우울증에 필요한 적절한 영양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본인이 좋아하는 영화나 드라마를 반복적으로 보면서 우울한 감정을 해소하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으면서 약물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치료에는 전기경련치료에 대해 영화서 보는 것처럼 부정적 측면이 있는데 그렇지 않고 대학 병원에 입원하여

전기경련치료를 받는데 뇌를 치료하면 약물 용량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전기경련치료는 조현병 환자이 치료법이기도 한데, 기술력이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뼈에 골절이 되거나

뇌 안에 혈관이 파열되거나 하는 그런 일은 발생하지 않으며 뇌동맥류가 있는데도 18번이나 치료를 받았다고

합니다. 또한, 근본적으로 손상되었거나, 잘못된 뇌의 기전을 조금 바꿔준다고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그러나, 6~8개월 기억이 없어지긴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시 돌아온다고 덧붙였습니다.

 

 

우울증을 대하는 자세

현대사회는 급격히 빠른 성장으로 살기 좋은 세상은 되었지만, 한편으로 각자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부유한 사람이나, 가난한 사람이나 삶의 질에 따라서 느끼는 우울감이 있는 거

같습니다. 결혼을 해도 우울하다고 하고, 미혼이어도 우울하다고 합니다.

 

요즘은 코로나를 겪으면서 혼자라는 분위기가 더 확산되면서 대화상대도 없고, 대화를 회피하는 경우도

많아진 거 같습니다. 각자 느끼는 결핍이 다르지만, 사람들과의 소통이 필요하고 그 속에서 변화를 겪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마음의 자세를 긍정의 스위치를 켜는 훈련도 필요합니다.

 

나만 불행하고, 나만 실패하고, 나만 가난하고, 나만 외롭다는 낭만이라는 굴레에 갇히는 병에서 벗어나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자신의 상황에 대해서 매일 환기할 필요가 있고, 마음을 새롭게 하기 위해서 변화를

꿈꾸다 보면 긴 터널에서 끝자락에 한줄기 빛을 보듯이 증세가 완화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